PT(Placement Test) 제도
- 자연 교과 및 외국어 교과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수강 전 PT(Placement Test)를 실시함으로써 일정 수준 이상의 성취도를 달성한 학생에게 해당 과목의 수강 없이 위계에 따른 심화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속진 기회를 제공한다.
- PT는 1학년 1학기 수강신청 기간 이전에 실시한다.
- 1학년 필수과목에 한하여 PT를 거쳐 학점을 부여하며, 실시과목, 평가 기준 등 PT 운영의 세부적인 내용은 교육과정 운영 지침에 별도로 정한다.
AP(Advanced Placement) 제도
- AP과목은 대학과의 학점인정 협약을 통하여 개설한다.
- 학교장이 인정하는 대학에서 개설하는 AP교과에 수강 신청하여 학점을 취득할 수도 있다.
자기설계형 교육과정 운영
- 학교에서 개설이 안 된 교과목의 경우, 학생이 외부의 온/오프라인 교육 자원 등을 활용하여 자기설계형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.
- 교과목 개설을 위해 학생은 개설 직전 학기 개학 후 4주 이내에 관련 학부에 강의계획서를 제출하고 교과목 개설을 신청한다. 학부에서는 교과목 개설의 필요성을 확인하고, 교과목의 운영 취지에 적합한 교육내용인지의 여부를 심의 및 승인한 후 개설하도록 하며, 운영 관련 세부사항은 학부에서 정한다.
- 학생이 설계한 교과목에는 담당 교사를 배정한다. 담당교사는 교과목 개설을 위한 외부 교육 자원과 강의계획서를 사전에 검토하고, 교과목의 개설 및 운영을 지원하고 학생의 학습 과정을 모니터링하며, 평가에도 참여한다.
- 평가는 담당 교사가 학생의 학습 과정 및 결과를 모두 고려하여 평가하고, PASS(이수)/FAIL(미이수)로 평가한다.
KSA HP(KSA Honors’ Program) 운영
-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학생들의 경우 KSA HP에 등록하여 KAIST에서 수강할 수 있도록 한다.
- KSA HP의 과목은 KAIST 교수 및 KSA 교원이 담당할 수 있다.
- KSA HP로 수강하는 과목은 KSA의 학점으로 인정되며 추후 KAIST에 진학한 경우 KAIST 학점으로 인정한다.
- KSA HP 운영에 관한 세부 사항은 학교장이 정한다.